반응형

지방 쓰는 법과 설날 차례 순서 글의 목차

     

    차례 지방 쓰는 법

    최근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기도 합니다.

    차례상의 '지방'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백지)를 사용합니다. 깔끔한 백지에 붓글씨로 써 지방틀에 넣어 차례상의 북쪽에 둡니다.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씁니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습니다.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 글자로 붙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는 말입니다.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 비(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됩니다.

     

    학생? 처사? 부군? 유인?

    학생(學生)은 특별한 관직이 없는 경우를 말하며 처사(處士)라고도 씁니다.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나 수사(秀士)라고 씁니다. 관직에 있던 경우는 관직명을 적을 수 있습니다.

    남성 쪽에는 부군(府君) 명칭을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하며 아랫사람한테는 직접 이름을 씁니다. 여성 쪽은 유인(孺人)이라 쓰고 본관 성씨를 이어 쓰는데 사실 유인(孺人)은 조선시절 외명부의 종9품에 해당하는 명칭이었지만 그냥 벼슬없는 사람들도 함께 사용하는 단어라고 알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일 모시는 조상이 사무관(5급) 이상 직급의 공직생활을 한 적이 있을 경우, '학생부군신위'가 아닌 '(직급명) 부군신위'라고 쓰면 됩니다. 5급 이상의 공무원이라면 '관(官)'(관료)이라 부를 수 있는, 조선시대로 치면 과거(대과) 급제 이후에 해당하는 직급이라고 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차례 지내는 조상 범위

    차례를 지내는 조상의 범위는 아버지 내외와 할아버지 내외, 증조할아버지 내외, 고조할아버지 내외로 4대조까지입니다. 차례가 끝나면 차례상에 올렸던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데요. 조상신이 드셨던 음식을 받아 먹음으로써 그 덕을 물려 받는다는 뜻 깊은 의미도 있습니다.

     

    명절 차례 지낼 때 제사 예절

    설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가 술을 잔에 부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묘지에서는 술을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2) 참신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3) 헌주

    술을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이 올립니다. 대게 제주가 직접 상 위에 놓인 잔에 바로 술을 따릅니다.

    4) 삽시정저

    떡국, 또는 밥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합니다.

    5) 시립

    일동이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6) 사신

    수저를 거두고, 뚜껑이 있다면 잠시 덮어둡니다. 일동이 두 번 절한 후,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7) 철상, 음복

    차례 음식을 내리고,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차례상 음식 차릴 때 유의사항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차례상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로부터 '치'자가 들어간 것은 흔하고 천한 생선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보통 제사상 4대 생선으로 민어, 조기, 참돔(도미), 통북어를 올립니다.

    차례상 음식을 준비할 때는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제사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 에는 복숭아, 키위, 붉은 팥 등이 있습니다. 귀신을 쫓는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입니다.

     

    설 차례상 음식 종류 명절 상차림 차리는법

    설 차례 상 차림 글의 목차 설 명절 차례의 의미 제사란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전통 의식으로, 최근에는 즉 기일에 치르는 기제사와 명절 때 치르는 차례를 주로 지내고 있습니다. 친척들이 모

    moneyannelife.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