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 글의 목차

     

    설 명절 차례의 의미

    제사란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전통 의식으로, 최근에는 즉 기일에 치르는 기제사와 명절 때 치르는 차례를 주로 지내고 있습니다. 친척들이 모여서 산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는 시제라고 합니다.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과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는데요.

    차례는 '차를 올리면서 드리는 간략한 예'를 뜻하지만, 이는 차만 올리자는 뜻이 아니라 '술을 올리더라도 차를 빼놓지는 말자.'라는 의미라고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절에 빼놓을 수 없는 차례 제사상 차리는 법과 상차림의 위치, 제사음식 차리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명절 제사상 위치와 준비할 음식 종류

    사실 차례상은 방향 상관 없이 제사 지내기 편한 곳에 차리면 되는데, 신위(지방)이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해야 합니다. 제사 지내는 사람의 편에서 차례상을 바라보았을 때는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입니다.

    '신위'란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나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을 부르는 말인데요. 차례(제사)를 지낼 때, 조상(신위)을 한 분만 모실 수도 있지만 두 분 이상을 한꺼번에 모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설 상차림에서 신위별로 준비해야 하는 음식 종류와 아닌 것

    • 신위 별로 준비할 것
      밥, 국, 숭늉 (설 상차림에는 밥 대신 떡국)
      •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는다.
      •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는다.
      •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푼다.
    • 신위 별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

     

    제사상 차례상 음식 순서 열

    제사상은 보통 5열입니다.

    신위(지방)이 있는 쪽을 1열로 보면, 1열은 식사류인 밥, 국 등이 오르고, 2열은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구이, 전 등이 오르고, 3열에는 그다음 될 만한 부요리인 탕 등이 올라가며,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 후식이 올라갑니다.

    차례상 상차림을 할 때에는 조상님이 반대쪽에 앉아 계신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식사를 먼저 하시고 후식을 드시는 것이죠. 복잡한 차례상의 열 상차림 순서가 조금은 쉽게 느껴지시나요?

     

    설 차례상 차리는 법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정성껏 준비함은 기본이겠죠?

     

    제사상 기본 밥과 국, 탕을 담는 법

    1열에 올리는 밥과 국, 3열에 올리는 탕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젯메(반):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2. 갱 또는 메탕(반탕):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3. 삼탕: 재료는 고기, 닭, 생선을 사용한다.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위에서 말한 '삼탕'은 3가지의 탕이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탕과 적을 종류별로 준비한다고 하면, 가짓수는 1, 3, 5 홀수로 해야 합니다.

     

    2열에 놓는 적 종류와 4열에 놓는 밑반찬류

    이는 지방과 가정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요.

    기본적으로 2열에 놓는 주요리인 '적'은 육적, 소적, 어적, 봉적, 채소적 등(종류는 3적 혹은 5적)으로 준비하고, 4열에 놓는 밑반찬은 포, 삼색나물, 간장, 침채(김치류), 식혜 등을 올립니다.

     

    5열의 후식 종류

    식사를 마치신 조상님이 드실 후식으로 대추, 밤. 배, 사과, 한과를 준비합니다.

    흔히들 말하는 '조율이시' 란 우리나라 제사상에 놓는 과일의 기본 4가지로, 대추(조)는 씨가 하나이므로 임금을, 밤(율)은 한 송이에 3톨이 들어있으므로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3정승을, 배(이)는 씨가 6개 있어서 6조판서를, 감(시)은 씨가 8개 있으므로 우리나라 8도를 각각 상징한다는 설이 있습니다.

     

    다들 간소하게 상차림 한다는데 우리집만 이렇게 다 차리는 것인가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 아직도 풀 상차림 하는 가정이 많습니다. 조상님 은덕 받기 위해 조금만 더 힘내자구요.

    설 추석 연휴에 명절 음식 하시느라 고생이 많으시죠. 그래도 의미를 알고 차례 상차림 준비 하시면 보람이 느껴지지 않을까 준비해 보았습니다. 조상님께 차례 잘 지내시고 가족들과 즐거운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맛있는 떡국도 많이 드시구요! 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