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MA란?
Cash Management Account 의 약자로, 자산관리계좌라는 뜻입니다. 원래는 종합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탁받은 금전을 어음 및 채무증서 등에 운용하고, 그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지칭하는 용어였습습니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한데, 증권사가 내 돈 관리도 해주는 계좌입니다.
CMA계좌는 은행 보통예금보다 금리가 높고, 이자를 매일 매일 지급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P란?
RP란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권부 채권의 약자입니다. 돈이 필요한 금융기관이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의 일종으로 만기가 짧습니다. 고객이 CMA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증권사는 그 돈으로 시중의 RP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환매조권부 채권은 금융기관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확정금리를 보태서 다시 사는 조건으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Repo라고도 하며, 실세금리에 가까운 채권을 매입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수익률이 매우 높은 편이고, 자신의 계획에 맞추어 자금을 예치하고 환매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상품 중의 하나입니다. 증권사에서는 자유약정식(수시)RP에 자동이체/결제서비스 기능을 추가한 CMA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RP는 예금자보호대상 상품은 아닙니다.
기타 CMA 계좌 유형
- MMF형: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 자산운용사들이 만들어 파는 금융상품인 '펀드'에 투자하게 되는 것. 운용성과에 따라 계좌의 손익이 변동할 수 있습니다.
- MMW형: Money Market Wrap의 약자로, 고객과 증권사가 랩 계약을 체결하고 증권사가 그 계좌의 돈을 한국증권금융 예치금에 주로 투자하는 것. 돈을 단기로 빌려주면 한국증권금융이 그에 대한 이자를 증권사에 줍니다.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이지만 별도의 계약이 필요하다는 점!
반응형